티스토리 뷰

종합소득세 신고 무사히 하셨나요? 올해는 코로나 19로 인해 세무서에서 종소세 창구 접수를 하지 않아 많은 분들이 불편함을 겪었습니다. 1년에 한 번 하는 세금 신고는 할 때마다 새롭고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올해는 세무서에 찾아가서 도움을 받으며 신고할 수도 없으니, 세무사를 쓰거나 스스로 신고할 수밖에 없죠. 쉽고 비용도 아끼면서 신고하는 방법을 찾아보다가 좋은 방법을 찾아서 공유해봅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프리랜서로 일을 시작하면서 저도 올해 처음으로 종합소득세 신고 안내를 받았습니다. 서류를 읽어보았지만, 분명 한국말인데도 도통 무슨 말인지 모르겠더군요. 저처럼 종합소득세를 처음 신고하시는 분들은 대체 어떻게 신고하는 건지 감이 오지 않습니다.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는 방법은 크게 4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

 

1. 스스로 신고한다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와 홈택스의 모바일 어플인 '손택스'를 이용해 본인이 신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직접 신고하는 것은 분명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저 역시 정말 여러번 들락거리며 유튜브도 보고 블로그도 봤지만, 모르는 용어도 많고 금방 배워서 하기는 어렵더군요. 

 

잘되다가 갑자기 시스템 상 오류가 생기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또 아르바이트나 프리랜서처럼 처음 신고를 하는 경우, PC나 모바일 앱 사용이 익숙지 않은 경우 등 개인적으로 신고하는 것이 너무 힘들기도 하죠.

 

2. 세무서, 국세청의 도움을 받는다

혼자 하기 힘든 경우 국세청이나 세무서에 찾아가거나 전화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올해는 코로나로 인해 세무서와 국세청에 전화를 해도 통화 연결이 어렵고, 창구를 운영하지 않았습니다.

 

단, 65세 이상과 장애인은 신고 창구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찾아가도 도움을 받지 못하고 돌아와야 합니다.

 

3. 세무사에게 의뢰한다

그럼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방법을 찾아야겠죠. 국세청이나 세무서를 이용하면 무료로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올해는 그게 힘든 상황이니 다른 곳에서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세금이라는 큰 벽을 마주하면 스스로 움츠러들게 됩니다. 혼자 힘으로 어떻게든 해보다가 계속 안되면 또 좌절하게 되기도 하지요. 이럴 때는 그냥 세무사를 찾아가 의뢰하는 것이 현명할 수도 있습니다. 수입이 많은 분들은 처음부터 세무사에 맡기고, 정기적으로 월마다 비용을 주고 사용하는 게 낫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르바이트나 프리랜서, 쇼핑몰, 운수업, 단기 근로자 등으로 얻은 소득을 신고하거나 큰 수입이 아닌데 세무사를 찾아가는 건 아무래도 비용이 부담스럽습니다. 세무사 비용은 대략 평균 15만 원 정도 나옵니다. 1년에 한 번이라도 적은 돈은 아니지요.

 

 

4. 대행 사이트를 이용한다

세무사는 비용이 부담되어 다른 서비스가 없나 찾아보다보니, SSEM이라는 업체가 있더군요. 우선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은 비용입니다. 세무사 비용이 십만 원이 훌쩍 넘는 것에 비해, SSEM은 건당 3만3천원입니다. 

 

가격이 괜찮죠? 세무사처럼 완전히 대행해주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신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서비스입니다. 이용하는 방법도 간단합니다.

 

SSEM 세금 신고를 위해서는 개인용 공동인증서만 있으면 됩니다. 홈택스나 손택스에 들어가 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로그인할 때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가 필요합니다.

 

 

SSEM은 세금 정보를 불러오기 위해 국세청 홈택스와 연동하기 때문에, 공동인증서가 필요합니다. 개인의 공동인증서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지는 않으니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편리한 점은 따로 홈택스 아이디, 비밀번호를 몰라도 공동인증서만 있으면 이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공동인증서만 등록하면 매출 매입 등이 자동으로 잡혀서 비용 처리도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금 혜택은 당연히 동일하게 적용받을 수 있고, 혹시 이 회사의 잘못으로 손해가 생기면 100%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정도면 좀 안심해도 되겠네요.

 

간단히 이용 방법도 알려드릴게요. SSEM 어플에서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하면 됩니다.

 

먼저, 부양가족이 있다면 입력합니다.

 

SSEM-어플-이용방법1
SSEM-종합소득세-신고방법

자동으로 수입금액이 수집됩니다. 

SSEM-어플-이용방법2
SSEM-종합소득세-신고방법2

비용처리할 카드 내역도 등록할 수 있고요.

SSEM-어플-이용방법3
SSEM-종합소득세-신고방법3

추가로 비용 처리할 것들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SSEM-어플-이용방법4
SSEM-종합소득세-신고방법4

그럼 자동으로 계산 결과가 나옵니다. 33000원을 결제하면 신고가 완료됩니다.

SSEM-어플-이용방법5
SSEM-종합소득세-신고방법5

간단하죠? 이런 서비스를 활용하셔도 좋을 것 같아 소개해드렸습니다. 

 

다음에도 또 좋은 서비스가 있다면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5월 종합소득세, 7월 부가세 신고 모두 무사히 마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